Direktur
Komunitas Sastrawan Siwasanmun, Penerbit
Majalah Sastra Musiman 『Siwasanmun』, Penyair Jang Byung Hwan
Selamat pagi. Saya, Jang Byung Hwan, Direktur Komunitas Sastrawan
Siwasanmun. Saya sangat menyambut baik pencapaian MoU antara Siwasanmun dengan
SKSP, UIN Saizu sebagai suatu titik tolak penting untuk mengaktifkan hubungan
sastra antara Korea-Indonesia sambil mengharapkan pengembangan pesat hubungannya.
Dalam kesempatan ini, saya sampaikan rasa terima kasih kepada Dr. Kim,
Young Soo dan Profesor Dr. H. Abdul Wachid BS, M. Hum, yang selama ini giat
berusaha semaksimal mungkin untuk mencapai MoU kali ini dan tak lupa merayakan
konferensi internasional hari ini.
Korea dan Indonesia tetap menunjukkan perbedaan nyata baik segi
geografis, lingkungan alam, maupun segi ras dan suasana peradaban. Oleh
karenanya, Indonesia kini terkenal sebagai obyek wisata bagi masyarakat Korea
sedangkan kebudayaan populer Korea misalnya K-Pop sedang melanda di Indonesia.
Korea mempunyai sejarah 5 ribu tahun lamannya, sementara Indonesia, suatu
negara yang makmur dan kaya akan sumber alam. Sebagaimana kita ketahui,
Presiden Korea Yoon Seok Yeol setahun yang lalu melakukan kunjungan kenegaraan
ke Indonesia dan mencapai MoU dalam rangka meningkatkan hubungan kerjasama di
segala bidang termasuk bidang pertahanan nasional.
Namun demikian,
sayang sekali kedua masyarakat belum kenal secara tepat dan nyata satu sama lain. Buku merupakan sarana terbaik
untuk mengenal kehidupan manusia. Ditambah lagi sastra dapat menjadi jalan
pintas untuk memahami kehidupan orang lain. Oleh karena itu, MoU yang dicapai
hari ini, akan menjadi momentum penting untuk memecahkan perbedaan antara Korea
dengan Indonesia. Korea dan Indonesia mempunyai sejarah yang sama, yakni pernah
dijajah oleh bangsa lain. Dua negara, Korea dan Indonesia sama-sama merdeka
pada bulan Agustus tahun 1945. Sastra modern di Indonesia dan Korea dimulai
pada awal abad ke-20 pada masa penjajahan oleh bangsa lain. Kalau tidak salah,
sastra modern Indonesia dimulai dengan 『Poedjangga Baroe』 tahun
1933, sedangkan sastra modern Korea dimulai dengan penebitan majalah sastra 『Changjo』tahun 1919. Saya tetap yakin SKSP dan Siwasanmun akan pasti mencapai
goal yang cemerlang.
Air yang tidak
mengalir akan jadi busuk. Air yang mengalir akan merubah suasana di sekitarnya. Pertukaran kecil ini akan menjadi
arus air laut raksasa, melampaui Asia Tenggara, Asia Timur Laut menuju wilayah
Asia secara menyeluruh.
Sekali lagi, saya sampaikan ucapan
selamat atas tercapainya MoU antara SKSP, UIN Saizu dengan Siwasanmun hari ini.
Terima kasih banyak.
한–인도네시아 문학교류
㈔시와산문문학회-SKSP MOU 체결에 대한 축사
㈔시와산문문학회 이사장·계간 시와산문 발행인 장병환 시인
안녕하십니까? 한국의 ㈔시와산문문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장병환입니다. 오늘 한–인도네시아 문학 교류의 물꼬를 튼 시와산문과 SKSP와의 MOU 체결 을 진심으로 환영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크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MOU 체결에 이르도록 우리 시와산문의 김영수 박사와 인도네시아의 압둘 와이드 교수가 크게 수고해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오늘 특별히 그 일을 시작하면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를 경하해 마지않습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나라의 지리적 위치와
환경은 판이하고 인종과 인문 환 경은 서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차이를 보입니다. 그런 이유로 인도네시아는 한국에서 놀라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관광지로 유명하고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은 K-Pop으로 대표되는 대중문화로 특히 유명합니다. 그러나 5천 년 역 사를 가진 한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손꼽는 자원대국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인도네시아를 이러한 것들로 만 이해한다면 아쉬울
수밖에 없는 일입니다. 1여 년 전에 윤석열 대통령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여 여러 분야의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이미 국방 분야에 있어서는 많은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가 있지만 여전히 양국
사람들의 진정한 삶을 서로 듣고 이해
하는 부분에는 미진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서로의 진솔한 삶을 보려면 상대방에서 나온 책들을
보는 것이 가장 빠를 것입니다. 특히 문학은 사람들의 삶을 읽는
것입니다. 거기에 경험과 모든 감정이 다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오 늘, 이 문학 교류의 MOU는 지리적 환경적 벽을 허물고
진실한 얼굴을 맞이하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 저는 확신합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놀랍게도 많은 역사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두 국가 모 두 강대국들에 의해 오랜 세월 지배 받다가 1945년 8월 15일에 독립하였습니다. 한편 이 19세기~20세기 초반을 지나서야 근대적 문학이 제대로 시작되었 습니다. 두 국가 모두 식민시대의 아픔 속에서 태동한 근대문학을 가지고 있고 비슷한 정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들은 바로 인도네시아는 1933년에 『뿌장가 바루』(Poedjangga
Baroe)를 창간하여 인도네시아 근대문학의 큰 걸음을 내디뎠는데 한국도 1919년 『창조』라는 문예지를 발행하면서 근대문학을 시작했습니다. 현재에는 SKSP에서 시인들을 많이 배출하는 것처럼, 한국도 ㈔시와
산문문학회와 같은 단체들이 많은 문학인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공통점 이 많습니다.
앞으로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인식의 깊이를 더한다면 이 문학 교
류는 놀라운 열매를 맺으리라 확신합니다. 고인 물은 썩어가나 흘러가는 물은 더욱 새로워지고 주변을 변화시킵니다. 서로의 작은 교류가 큰 해류(current)
를 만들어 동남아시아와 극동아시아를 넘어 아시아를 주도하는 인문학의 첨병 (尖兵)이 되길 기대합니다. 오늘의 MOU 체결을 다시 한번 진심으로 축하 드리며 더 큰 교류로 나아가길 기대하며 축사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