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 카시로 (SITI KHASIROH)
언어와 문학은 생각의 결과와 감정을 나타내는 매개체로 활용되나 종종 의도 하지 않은 오해를 일으키고 있는 것을 본다. 더구나 구두상 즉흥적으로 언급하는 예상과 예단에 있어 그 경향은 심각하다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이슬람 사원과 이슬람 기도처의 확성기 사용에 대한 2022년 제 5호 장관 회람에 대해 종교부 장관이 기자회견에서 직접 밝힌 내용을 들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장관의 기자회견 내용은 2022년 2월말부터 3월초까지 인도네시아 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다. 장관의 견해에 반대하는 단체로부터 비판과 비난이 쇄도하였다. 이는 이슬람 학숙(學塾)(집단으로 기숙하면서 이슬람 교리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교육 기관) 문학의 맥락으로 보았을 때 장관의 설명이 사회 안정과 상호간 존중 실현을 위한 합의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 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종교부 장관은 사회 구성원 간의 완벽한 상호 이해 도출을 위한 노력으로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다. 즉 서로 가까이 있는 이슬람 사원과 기도처간 높은 볼륨의 확성기를 하 나로 묶어 아잔(adzan/이슬람교도의 기도시간을 알리는 외침)을 할 경우, 이슬람 사원과 기도처 인근에 사는 주민들의 생활 안정이 방해를 받는데 이러한 상황은 이웃이 소유하 고 있는 개들의 짖음으로 인해 방해받는 상황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웃이 소유하고 있는 개들의 숫자가 많을 경우 그리고 같은 시간대에 같이 크게 짖을 경우 주의의 사 람들과 주민들의 평온함이 방해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동일화의 초점은 방해하는 큰 소리(소음)이지, 아잔과 개 짖는 소리를 동일하게 본 것은 아니다. 다시 강조하건 데 아잔과 개들의 짖음을 동일시한 것은 절대 아닌 것이다.
아랍 문학(발라그하/balaghah)의 속성도 그렇다고 본다. 즉 아랍 문학은 감정의 예리함을 증가시키고 현명한 정신을 구현하는데 그 지향점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교를 갖고 있고 이슬람 학숙 문학과 언어를 이해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의 언어와 선의의 제안, 말의 요지 그리고 상징을 쉽게 오해하지 않으며 상대방의 이해를 받아 드리고 있 다.
종교 교육의 언어와 문학은 일반적이고 본래적인 많은 의견들에 대해 대답을 하고 있다고 본다. 문제는 대중들이 과장되게 그 대답을 받아 드리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왜 냐하면 그들의 문맥에서 벗어났다고 억측을 하기 때문이다. (상황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한 결과). 오르데 바루(Orde Baru)(인도네시아 수하르토 대통령 집권기) 시기에 누르홀리 쉬 마지드(Nurcholish Madjid)(인도네시아 저명한 이슬람 학자)가 <코란경에 언급된> la ilaha illa Allah, 귀절의 의미를 “tiada tuhan selain Tuhan” 즉, “신 이외의 신은 없다” 라고 의미를 한정한 바가 있다. 종교 언어 측면에서 ilah 의미는 여러 신을 의미하며 소문자 t로 시작한다. 그리고 유일신 알라(Allah)는 대문자 T로 시작한다고 의미를 한정하였는데 이 러한 그의 의미 한정은 이슬람 학숙 아랍어 공부 시간에 논쟁 거리가 되♘다. 즉 유일신 알라(Allah)가 파생어로 존재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ilah 어휘에 al 또는 alif lam을 부가) 아니면 근간어로 (ilah 어휘가 아닌) 다른 어휘로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교학적/의미론적 견해는 아랍어와 아랍 문학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 하는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야기시키는 기폭제가 되♘다. 그러나 사실 이슬람 학숙 사회에서는 이 견해는 이미 일반화된 것이♘다. 왜냐하면 아랍어를 배우기 시작할 때부터 아 랍어에는 근간어와 파생어가 있음을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 누르(Cak Nur)(누르홀리쉬 마지드의 별칭)의 견해는 옳으며 이성적이며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봤을 때 이슬람 학숙 문학은 산뜨리(santri/이슬람의 독실한 신자)에 의해 학숙의 안과 밖, 그리고 그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퍼져 나간다고 할 수 있다. 이 슬람 누산따라(Islam Nusantara)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산뜨리의 정신적 전통은 아랍-자바를 융화 시킨 혼합체라고 볼 수 있다. 산뜨리들은 이미 자바적인 요소(kejawaan/또는 인 도네시아적인 요소 (keindonesiaan)를 그가 신봉하는 이슬람과 하나로 묶♘고 이 두가지 요소가 이해되어지고 하나라도 모자람 없이 100% 표현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슬람적 요소는 종교적 평화와 안정속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본다. 왈리(wali/이슬람 전도사) 그리고 이슬람 학숙의 끼아이(kiai/이슬람 율법사)들의 시(詩)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지역화와 세계화가 하나로 합일화 되는 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리르 일리르(Lir Ilir/뚜반(Tuban) 지역의 이슬람 지도자 수난 보낭(Sunan Bonang이 만든 노래 제목)와 단 당 굴로(Dandang Gulo/자바 지역의 오래된 노래 제목)를 인도네시아 민족이 함께 공유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노래를 통해 정신을 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의 삐뚜뚜르 루후르(pitutur luhur/선의에 대한 인도네시아 선조들의 충고)가 되고 있다.
이슬람 학숙 문학을 존속시키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이슬람 학숙생들은 뽄독 뻬나(Pondok Pena)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슬람 학숙 문학에 대해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이 토론을 통해 학생들은 요점을 향한 토론(Blakasuta)이라고 명명된 문학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전국 백일장을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이슬 람 학숙에서 아랍어의 일상어를 배우는 학생에게 이슬람 학숙 문학의 테마를 잡는데 하나의 동기가 되고 있다. 이슬람 학숙 문학의 매력, 다양한 노래와 시편들, 전통은 모두에게 종교 생활은 삶 속에 중용이고, 관용이고 진정한 평화라는 것을 확실하게 각인시키고 있다. *****
AKTUALISASI SASTRA PESANTREN
oleh: Siti Khasiroh
Bahasa dan sastra sebagai media untuk menjelaskan pesan hasil pemikiran maupun rasa seringkali disalahpahami, apalagi jika diberikan tafsir secara lisan yang bersifat spontan. Sebagai contoh adalah Surat Edaran Menteri Agama Nomor 05 Tahun 2022 tentang Pedoman Penggunaan Pengeras Suara di Masjid dan Musholla yang diberikan penjelasan saat wawancara oleh Menteri Agama sendiri. Hal itu ternyata menjadi heboh dan viral di media sosial pada akhir bulan Februari dan awal Maret 2022. Kritikan bahkan umpatan datang dari kelompok yang tidak sependapat. Padahal, dalam konteks sastra pesantren (ilmu balaghah), penjelasan Menteri Agama ini menguatkan tentang betapa penting menjaga kerukunan dengan membangun tenggang rasa dan ketenangan lingkungan.
Dalam upaya untuk mendapatkan pengertian yang “cetha wela-wela” alias terang benderang, Menteri Agama membuat analogi atau tasybih berupa adzan lewat pengeras suara yang bersautan, dengan volume yang tinggi antar masjid dan musholla yang berdekatan itu akan mengganggu kenyamanan warga sekitar tempat ibadah tersebut. Kondisi yang mengganggu ini juga bisa terjadi pada suara lolongan anjing yang dimiliki oleh orang-orang yang bertetangga. Anjing-anjing tetangga ini jika jumlahnya banyak dan dalam waktu yang bersamaan menggonggong dengan suara keras pasti akan mengganggu warga atau tetangga di sekitarnya.
Fokus penyerupaan atau wajahu syibhi-nya adalah berupa suara keras yang “mengganggu” kenyamanan hidup bersama bukan menyamakan adzan muadzin dengan lolongan anjing. Sekali lagi, bukan juga menyamakan adzan dengan lolongan apalagi menyamakan antara muadzin dengan anjing. Begitulah Sastra Arab (balaghah)
Banyak pendapat yang biasa dan wajar dalam konteks kajian bahasa dan sastra direspon oleh publik secara berlebihan, karena lepas dari konteksnya (tidak mengerti tentang muqtadlol hal-nya). Pada masa Orde Baru, Nurcholish Madjid pernah mengartikan kalimat la ilaha illa Allah, dengan “tiada tuhan selain Tuhan”. Dalam kajian bahasa memaknai kata ilah dengan tuhan (menggunakan t kecil) dan kata Allah berarti Tuhan (dengan huruf T besar) sudah diperdebatkan dalam studi Bahasa Arab di pesantren. Ada perdebatan, apakah lafadz Allah itu musytaq (bentukan dari kata ilah yang diberi al atau alif lam) atau jamid (kata asli, bukan bentukan dari kata ilah). Kajian semantik yang bersinggungan dengan teologis ini kemudian menjadi polemik pemancing amarah sebagian umat yang belum memahamai tentang karakter Bahasa dan Sastra Arab. Bagi komunitas pesantren, pendapat ini sudah biasa karena dari awal belajar Bahasa Arab ada bab tentang isim nakirah (undefenitif) dan ma’rifat (defenitif) atau pembahasan tentang al ta’rif. Kalam konteks bahasa dan sastra pesantren terjemahan Cak Nur (panggilan akrab Nurcholish Madjid) itu, wajar, rasional, dan diperbolehkan.
Dalam konteks sosial-politik, bahasa dan sastra pesantren diaktualisasikan di dalam dan di luar pesantren oleh santri di mana pun mereka tinggal dan menjadi tokoh spiritual di lingkungannya. Lagu-lagu modifikasi Arab-Jawa lekat dalam tradisi spiritual santri yang dikenal dengan sebutan Islam Nusantara. Santri telah menyatu dengan tradisi kejawaan (keindonesiaan) dengan keislaman yang dipeluknya. Keduanya dipahami dan diekspresikan 100%. Tidak kurang. Keislaman seperti ini menampilkan wajah keteduhan dan kedamaian dalam beragama. Syair-syair besutan wali dan kiai pesantren, berbicara begitu dalam akan arti penyatuan jiwa lokalitas dan globalitas yang terpatri kuat dalam sanubari para santri dan komunitasnya. Syair seperti Lir Ilir dan Dandang Gulo menjadi milik bersama bangsa Indonesia. Selain sebagai penyejuk jiwa juga menjadi pitutur luhur yang sarat makna bagi siapapun yang mendengarkannya. Geliat upaya pelestarian sastra pesantren terus tumbuh tak terkecuali dilakukan oleh Pesantren Mahasiswa An-Najah dengan program “Pondok Pena” yang secara kontinyu menyelenggarakan perbincangan santai sastra pesantren yang dikemas dengan nama Blakasuta dan perlombaan nasional rutin dua tahunan dengan nama Pesantren Menulis. Gayung bersambut, dunia pesantren termotivasi untuk mengusung tema-tema sastra pesantren sebagai bentuk aktualisasinya sebagaimana biasa mereka belajar dalam kesehariannya tentang Bahasa Arab. Dalam rengkuhan sastra pesantren yang teraktualisasikan dalam berbagai bentuk lagu-lagu dan syair-syair, tradisi ini telah menjadi jaminan kuat bagi “semua” bahwa kehidupan beragama yang moderat, toleran, dan damai benar-benar ada dan nyata dalam kehidupan.*****
TENTANG PENULIS
SITI KHASIROH,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뿌르오꺼르또(Purwokerto) 소재, 사이푸딘 주흐리 국립 이슬람대학교(Universitas Islam Negeri (UIN) Prof. K.H. Saifuddin Zuhri (UIN Saizu)) 총장 (임기 : 2019-2023). 반유마스(Banyumas)군 종교인연합포럼(FKUB) 의장, 안-나자흐(An-Najah)대학생 이슬람 기숙사 설립 및 지도자.
동부 자바, 라몽안(Lamongan), 까누그라한 마두란(Kanugrahan Maduran)마을에서 1968년 8월 16일 출생.
다양한 저널 기고 활동 이외에도 각종 저술 활동을 하고 있음.. 저서로는 해방의 교육 (Pendidikan Pembebasan)(2009), 여성 교육(Pendidikan Perempuan)(2005), 이슬람 사원 교 육 기능의 강화(Menggugat Fugsi Edukasi Masjid)(2005), 자바 문화 안의 조화 : 교육 측면과 성의 균등화)(Harmoni dalam Budaya Jawa: Dimensi Edukasi dan Keadilan Gender (2007), 이슬람 교육학, 교육의 예언, 다원론의 토착화, 예언적 교육 철학(Ilmu Pendidikan Islam, Prophetic Education, Membumikan Pluralisme, dan Filsafat Pendidikan Profetik) (2016) 등이 있다.
끼아이 로킵의 정식 학력 : 입띠다이야 바흐룰 울룸 빵엔딩안 라몽안 이슬람(Madrasah Ibtidaiyah Bahrul Ulum Pagendingan Lamongan) 학교 졸업 (1982); 뜨사나위야 히다야뚤 움마 쁘링고보요 라몽안 이슬람(Madrasah Tsanawiyah Hidayatul Ummah Pringgoboyo Lamongan) 학교 졸업 (1985); 아이야 느그리 데난야르 좀방 이슬람 학교 (Madrasah Aliyah Negeri Denanyar Jombang) 졸업 (1988); 수난 깔리자가 국립 이슬람 대학교 (Fakultas Tarbiyah Institut Agama Islam Negeri (IAIN) Sunan Kalijaga Yogyakarta 학사 졸업 (1993); 수난 깔리자가 국립 이슬람 대학교 (Islam IAIN Sunan Kalijaga Yogyakarta, 교육학 전공 석사 졸업 (1998), 수난 깔리자가 이슬람 대학교에서 이슬람학 전공으로 박사 학 위 취득( Islamic Studies Universitas Islam Negeri (UIN) Sunan Kalijaga Yogyakarta (2008).
Dr. K.H. Moh. Roqib, M.Ag., adalah Rektor Universitas Islam Negeri (UIN) Prof. K.H. Saifuddin Zuhri (UIN Saizu), Purwokerto, Jawa Tengah, Indonesia (periode 2019- 2023). Dia juga dimanati menjadi Ketua Forum Kerukunan Umat Beragama (FKUB) Kabupaten Banyumas, pendiri dan pengasuh Pondok Pesantren Mahasiswa An-Najah.
Kiai Roqib dilahirkan pada tanggal 16 Agustus 1968 di pedukuhan Pagendingan, desa Kanugrahan Maduran, Lamongan, Jawa Timur.
Selain menulis untuk jurnal, pemikirannya yang telah terbit dalam bentuk buku : Pendidikan Pembebasan (2009), Pendidikan Perempuan (2005), Menggugat Fugsi Edukasi Masjid (2005), Harmoni dalam Budaya Jawa: Dimensi Edukasi dan Keadilan Gender (2007), Ilmu Pendidikan Islam, Prophetic Education, Membumikan Pluralisme, dan Filsafat Pendidikan Profetik (2016).
1993); S-2 Pendidikan Islam IAIN Sunan Kalijaga Yogyakarta (lulus 1998), dan lulus Doktor dari Islamic Studies Universitas Islam Negeri (UIN) Sunan Kalijaga Yogyakarta (2008).